프로그래밍
-
ES6 + 기초 1코-드 스피츠/es6 2019. 1. 21. 10:53
https://youtu.be/kG87PONfqkg 에서 발췌 현업 개발자와 학생의 차이 - 복잡성을 정복했느냐.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며 어떤 것이 무엇을 의미하느냐 정도가 아닌 그 어떤 것을 이용해서 복잡성을 정복했느냐. 모든 프로그래밍은 변하기 때문에 향후 변화에 대해 프로그램이 받아줄 수 있게 미리 짜둬야 한다. 이번 회에서 배울 것 - 언어의 기본 요소 + 흐름제어flow control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어디서부터가 프로그램인가 - 컴퓨터 메모리에 적재된 이후에 실행되기 직전 상태부터가 프로그램. 그전까지 아님. 컴파일 언어의 라이프 사이클 컴파일러 -> 인간친화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바꿔준다.File은 프로그램인 상태가 아닙니다.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프로그램이다. 1. 랭귀지 코드..
-
프로그래밍과 입시미술잡썰 2019. 1. 5. 00:12
“개발이 너무 재밌어요”라는 말을 어느 정도 무게로 하는지 개발을 처음 시작하고 개발을 조금 한다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생각했다. 나는 이 말을 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놀랐다. 심지어 면접보러 갔을 때 개발이 재밌냐가 단골 질문이었고, 나는 항상 갸우뚱했다. 내가 나이 많은 신입이라 그런건지, 입시미술을 거치고 출판도 하고 영화도 찍고 무언가 만드는 것에 대해서 그다지 “너무 재밌지는” 않은 상태라서 그런건지, 아니면 너무 많이 놀아서;; 그에 비해서 시시한건지는 모르겠다. 나는 여전히 개발이 너무 재밌다고 쉽게 말하지 못한다. 나는 c언어는 써본적도 없고 컴퓨터 기저층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제대로 모른다. 그러나 그런 것에 대해서 모른다고 해도 프로그래밍이라는 업종의 무게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